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nnotaion
- War
- oracle
- Linux
- Spring Framework
- java
- soap
- 개발
- SpringFramework
- tomcat
- JAR
- Jenkins
- hashcode
- spring-framework
- 웹프로젝트
- Spring Boot
- 스프링부트
- 이클립스
- Gradle
- mybatis
- Pipeline
- springboot
- Web
- 스프링프레임워크
- gitlab
- Spring
- maven
- git
- jsp
- REST
- Today
- Total
목록GIT & Jenkins (11)
Verity's Daily Logs_
GitLab이 가끔씩 500 Error를 표시할 때면 서버에 접속해서 메모리가 모두 차지는 않았는지 확인해본다. 지난번 쓰지도 않는 프로메테우스 데이터 때문에 데이터 정리를 했던 기억이 있어서 메모리 용량이 가장 큰 곳으로 찾아 들어가보니 /var/cache/yum/x86_64/7 경로였고, 구글링을 해보니 yum캐시때문이라고 한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 해 캐시를 삭제해준다. (106G 삭제!) $ yum clean all [root@GitJenkins opt]# cd /var/ [root@GitJenkins var]# du -h --max-depth=1 | sort -hr 168G . 106G ./cache 56G ./opt 6.2G ./log 306M ./lib 4.8M ./spool 56K ./tm..

지난 포스팅에서 정리했듯이, Publish Over SSH 플러그인이 지원 종료되면서 Spring프로젝트를 배포할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 했다. Jnkins Pipeline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배포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한다. 참고로, Jenkins Pipeline은 연속된 작업을 연결해놓은 젠킨스의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말이다. https://hye0-log.tistory.com/44 [Jenkins]Publish over SSH 플러그인 지원 종료 최근 신규로 개발환경 세팅을 진행해야 하던 중, Jenkins에서 Publish Over SSH가 검색되지 않아 난감했던 경험이 있었다.. 왜 더이상 검색되지 않는가, Publish Over SSH를 대체할 좋은 배포 방법은 있는 것 hye0-lo..

최근 신규로 개발환경 세팅을 진행해야 하던 중, Jenkins에서 Publish Over SSH가 검색되지 않아 난감했던 경험이 있었다.. 왜 더이상 검색되지 않는가, Publish Over SSH를 대체할 좋은 배포 방법은 있는 것인가에 대해 정리해 두도록 한다. 1. Plugin 지원 종료 기존 Plugin Docs 페이지(https://plugins.jenkins.io/publish-over-ssh/)로 접속하면 이런 문구가 표시된다. Plugin distribution has been suspended, see https://www.jenkins.io/security/plugins/#suspensions for details. 안내된 페이지(https://www.jenkins.io/security..

Jenkins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빌드&배포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Publish Over SSH’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플러그인은 Jenkins 환경설정에서 Server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해 두고,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File전송뿐만 아니라 명령어 실행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 접속정보인 password를 직접 저장해 두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AWS를 사용하는 경우 .pem 파일 값을 입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서버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플러그인 설치부터 Spring프로젝트 배포까지 설정하는 방법을 기록해 두도록 하자. 1. Project 및 배포 환경 정리 배포 할 프로젝트는 Springframework로 만든 웹 시스템이다. M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