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omcat
- JAR
- 스프링프레임워크
- Spring Boot
- SpringFramework
- Web
- 스프링부트
- hashcode
- mybatis
- 웹프로젝트
- git
- java
- Jenkins
- gitlab
- springboot
- War
- REST
- Linux
- spring-framework
- 이클립스
- 개발
- annotaion
- jsp
- oracle
- Spring
- maven
- Spring Framework
- Gradle
- soap
- Pipelin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0)
Verity's Daily Logs_

SiteMesh가 무엇인지, 사용하면 어떤 게 좋을지 확인해 본 후 실제 JSP 화면에 적용시키는 실습까지 진행한다. 화면까지 직접 디자인하는 것은 시간낭비일 것 같아서 무료 부트스트랩 테마를 가져와 확인해볼 생각이다. (사용 템플릿: bootstrapmade.com/demo/Eterna/) 1. SiteMesh란? SiteMesh 관련 문서 사이트 (wiki.sitemesh.org/wiki/display/sitemesh3/SiteMesh+3+Overview)에서 설명하고 있는 SiteMesh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SiteMesh는 일관된 모양 / 느낌, 탐색 및 레이아웃 체계가 필요한 페이지로 구성된 사이트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웹 페이지 레이아웃 및 장식 프레임 워크 및 웹 응용 프로그램 통합 ..

spring initializr 사이트(start.spring.io/)를 이용하여 생성한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View 가 타임리프(Thymeleaf)를 따르도록 되어있다. 타임리프가 아닌 JSP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dependency 및 일부 설정을 추가해야 한다. 1. build.gradle 추가 JSP 사용을 위하여 build.gradle 파일에 아래 Dependency 구문을 추가한다. (수정 후 빌드는 필수) dependencies { ...생략 implementation '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jasper' implementation 'javax.servlet:jstl' ...생략 } 2. application.properties 추가 Control..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부터 실제 서비스 배포까지의 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프로젝트 주요 스펙은 아래와 같으며, Dependency 의 경우 추후 추가되는대로 더 기재할 예정이다. 1. 프로젝트 정보 SpringBoot 2.3.4 (2020년 10월 기준 정상 릴리즈 버전) Build: Gradle Language: Java version 8 Packaging: War (별도의 tomcat 위에 직접 띄울 예정임) Dependencies : Spring Web, Lombok, Mybatis, Ojdbc8, JSTL, SiteMesh Eclipse IDE + Spring Plugin 2. Workspace 인코딩 설정 (UTF-8) 이클립스는 다양한 인코딩 설정을 제공하기 때문에, 혼자..
사내 프로젝트진행 시 Spring Framework를 사용할 것인가, Spring Boot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의논을 나눴던 적이 있다. 실제 IT 개발사에 종사하고 있는 지인들에게 물어보면 분명히 스프링부트가 대세인것 같은데, 구글링해서 나오는 말들은 모두 스프링부트에 대해 부정적인 것들이라 자료를 찾는데 꽤나 애를 먹었었다. 대개 2000년대 초반의 예전 글들이 많았기 때문도 있었는데, 부정적인 말들이 검색됨에도 계속해서 서치했던 이유는 지금은 Spring Boot 를 쓴다고해서 성능적인 차이가 많이 나지 않을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던 와중 아래의 단골 댓글들에 대하여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는 한 티스토리를 발견했다. 스프링부트는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나 어울린다. 내장 톰캣을 사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