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Jenkins
[CI/CD환경구축-2]Jenkins 설치하기
johye0
2022. 2. 3. 21:10
반응형
Linux 서버에 접속해서 Jenkins를 직접 설치하고, 초기 환경 설정까지 완료해 보도록 하겠다.
Jenkins 설치방법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여 차례대로 실행하면 된다.
https://www.jenkins.io/doc/book/installing/linux/#red-hat-centos
Linux
After downloading, installing and running Jenkins using one of the procedures above (except for installation with Jenkins Operator), the post-installation setup wizard begins. This setup wizard takes you through a few quick "one-off" steps to unlock Jenkin
www.jenkins.io
1. Jenkins 설치
sudo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sud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key
sudo yum install jenkins -y
sudo yum install jenkins -y 실행 시 Dependency Package를 가져오지 못할 경우, rpm 받아서 진행한다. (https://mirror.esuni.jp/jenkins/redhat/ 에서 해당 최신 버전 확인)
wget https://mirror.esuni.jp/jenkins/redhat/jenkins-2.303-1.1.noarch.rpm
sudo rpm -Uvh jenkins-2.303-1.1.noarch.rpm
2. Port 변경
Jenkins 기본 포트는 8080이기 때문에 해당 포트가 이미 사용 중이거나, 다른 포트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직접 설정 파일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sudo vi /etc/sysconfig/jenkins
...
JENKINS_PORT="8888"
...
3. Jenkins 시작
sudo service jenkins start
sudo systemctl start jenkins
4. Jenkins 버전 확인
rpm -qa | grep jenkins
5. 웹페이지 접속
http://서버아이피:지정한포트
6. 초기 환경 설정 - Next
다음 글에서는 웹페이지로 접속하여 초기 환경을 설정해 보도록 한다.
반응형